티스토리 뷰
16/17 잉글랜드 리그가 끝나면서 축구경기가 아닌 장외 대결이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선수들의 이적시장 입니다.
오늘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첼시의 이적시장 활약을 알아보겠습니다.
첼시(CHELSEA) FC
러시아의 갑부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2003년 첼시를 인수하며 첼시는 중위권 팀에서 신흥 강팀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아낌없는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첼시는 투자한 만큼 거둬들인 팀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첼시의 이적시장(2010 ~ 2017)
선수명 |
이적금액 |
IN/OUT |
이적팀명 |
하미레스 |
22M |
IN |
벤피카 |
베나윤 |
7M |
IN |
리버풀 |
델라치 |
3M |
IN |
인테르 |
디산토 |
2.4M |
OUT |
위건 |
카르발류 |
8M |
OUT |
레알 |
싱클레어 |
600K |
OUT |
스완지 |
스토크 |
5.5M |
OUT |
페네르바체 |
2010년 첼시는 3명의 선수를 사오면서 32M을 지출하고 4명의 선수를 판매하며 16.5M의 수익을 거둡니다. 기존에 지출하던 금액에 비해 적게 사용하고 적절히 판매한 시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첼시는 리그 2위라는 성적을 거둡니다.
선수명 |
금액 |
IN/OUT |
이적팀명 |
선수명 |
금액 |
IN/OUT |
이적팀명 |
메이렐레스 |
13.5M |
IN |
리버풀 |
토레스 |
58.5M |
IN |
리버풀 |
다빌라 |
2M |
IN |
과달라하 |
칼라스 |
600K |
IN |
올로무츠 |
마타 |
26.7M |
IN |
발렌시아 |
라이코비치 |
2M |
OUT |
함부르크 |
루카쿠 |
22M |
IN |
안더레흐트 |
지르코프 |
15M |
OUT |
안지 |
로메우 |
5M |
IN |
바르셀로나 |
코크 |
840K |
OUT |
사우샘프턴 |
쿠르투아 |
9M |
IN |
겡크 |
퇴레 |
220K |
OUT |
함부르크 |
피아존 |
7.5M |
IN |
상파울루 |
마티치 |
5M |
OUT |
벤피카 |
루이스 |
30M |
IN |
벤피카 |
맨시엔 |
2.5M |
OUT |
함부르크 |
2011년 첼시는 팀역대 최고 금액으로 리버풀에서 토레스를 사오지만 토레스는 팬들에게 실망을 안겨줍니다. 174.8M을 지출하고 26.1M의 수익을 거둔 첼시는 6위로 추락하게 됩니다. 우승을 위해 데리고 온 선수들이 제 역할을 해주지 못했기 떄문입니다.
첼시는 리그 6위라는 안좋은 성적표를 가지고 시즌을 마감합니다. 하지만 로만 구단주는 토레스를 사온 걸 후회하지 않았을 겁니다. 그렇게 염원하던 챔피언스 리그 트로피를 얻었으니까요. 토레스는 일명 일시불골로 바르셀로나의 추격 의지를 무너뜨리며 팀을 결승에 올려놓습니다. 결승은 드록신의 동점골로 승부차기까지 끌고가며 승리를 거머쥡니다.
선수명 |
금액 |
IN/OUT |
팀명 |
선수명 |
금액 |
IN/OUT |
팀명 |
모제스 |
11.5M |
IN |
위건 |
데브라이너 |
8M |
IN |
겡크 |
아스필리 쿠에타 |
8.8M |
IN |
마르세유 |
밤포드 |
2M |
IN |
노팅엄 포레스트 |
오스카 |
32M |
IN |
인터나시오날 |
케이힐 |
8.4M |
IN |
볼턴 |
아자르 |
1M |
IN |
랑스 |
메이렐레스 |
10M |
OUT |
페네르바체 |
아자르 |
40M |
IN |
릴 |
알렉스 |
5M |
OUT |
PSG |
마린 |
8M |
IN |
브레멘 |
|
|
|
|
2012년 첼시는 119.7M을 지출하고 15M의 수익을 거둡니다. 유로파의 첼시는 적응이 되지 않았지만 이전 시즌 챔스의 우승컵을 들어올린 것처럼 유로파의 우승컵도 들어올립니다. 평탄한 시즌은 아니었지만 3위로 리그를 마감하며 제 위치를 찾아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감독' 이라는 불안한 폭탄을 계속 가지고 가게 됩니다.
선수명 |
금액 |
IN/OUT |
팀명 |
선수명 |
금액 |
IN/OUT |
팀명 |
아트수 |
4M |
IN |
포르투 |
쉬를레 |
22M |
IN |
레버쿠젠 |
윌리안 |
35M |
IN |
안지 |
바 |
8.5M |
IN |
뉴캐슬 |
페리카 |
2.5M |
IN |
자다르 |
브루마 |
3M |
OUT |
PSV |
판힌켈 |
5M |
IN |
비테세 |
스터리지 |
14M |
OUT |
리버풀 |
왈라세 |
5.4M |
IN |
플루미넨세 |
|
|
|
|
2013년 첼시는 82.4M을 지출하고 17M의 수익을 거둡니다. 리그는 3위로 마감하며 또 다시 우승컵을 들어올리지 못합니다. 챔스에서도 4강까지는 올라갔지만 ATM에 무릎을 꿇고 트로피와는 인연을 맺지 못합니다.
지금까지 2010년 부터 2013년 까지의 첼시 이적시장과 리그 & 국가대항전 대회의 성적에 대해서 되돌아봤습니다. 리그 우승은 못했지만 챔스와 유로파 우승컵을 거머쥔 첼시! 이제는 강팀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 같습니다.
이어서 2014년 부터 2017년까지의 이적시장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베스텔's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 첼시의 10~17년 이적시장 총정리(2) (0) | 2017.06.20 |
---|---|
17/18 EPL 프리미어리그 승격팀과 강등팀 (0) | 2017.06.16 |
17/18 EPL Premier League 프리미어리그 일정 (0) | 2017.06.15 |
2018 러시아(Russia) 월드컵 최종예선 한국 이대로 괜찮은가? (0) | 2017.06.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JSTL
- 17/18 챔피언십
- <c:choose>
- 첼시
- 아시아최종예선
- Oracle 11G
- <c:if>
- 프리미어리그
- 오라클 설치
- c:forEach
- 17/18 프리미어리그
- 오라클 삭제
- jQuery ajax
- random
- javascript
- 프리미어리그 승격팀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egovframe
- 오라클
- 유로파
- c:choose
- 17/18 프리미어리그 일정
- 17/18 EPL
- 이적시장
- deinstall
- c:if
- 번호 생성기
- 러시아월드컵
- 프리미어리그 강등팀
- oracle 삭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